
MAGAZINE
저에게 무아공간은
아이폰, 애플 같아요.
별내동 A 아파트 고객님 인터뷰 中
서울 외곽에 위치한 이 집. 자연과 도시의 경계에 있는 이 곳에, 마치 휴양지에 온 듯한 감각적인 공간이 완성되었습니다. 그 주인공은 무아공간의 오랜 팬이라는 고객님. “무아공간은 제겐 삼성이나 아이폰 같은 존재”라는 찬사를 보낼 만큼, 무아공간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완성된 이 집은 고객의 삶과 취향, 철학이 오롯이 녹아 있는 공간이었습니다.
나다운 취향을 향한 첫 걸음
Q. 무아공간의 찐팬이시라고 들었는데, 무아공간의 어떤 매력에 빠지셨는지 궁금해요.
A. 저는 10~15년 전부터 인테리어에 관심이 많았어요. 유튜브가 없던 시절이라 잡지를 많이 봤고, 언니네 집 인테리어도 직접 도와줬죠. 그 때는 문지방을 없애는 것만으로도 엄마가 “집 망쳤다”하시던 시절이었어요. 무아공간은 처음 시작할 때부터 봐왔던 유튜브 채널이에요. 오 소장님이 TV에 나오시는 것도 다 봤고, 유튜브 채널도 꾸준히 봤어요. 그 때 당시의 인테리어는 하얀색이나 우드톤처럼 다 비슷비슷했던 것 같아요. 저는 그런 밋밋한 스타일보다, 하얀 도화지에 나만의 색을 더하는 인테리어를 원했어요. 무아공간은 그 감성을 정확히 표현해주는 곳이었고, 무아공간에 인테리어를 맡겨야겠다고 다짐했죠. 저는 이제 또 계획형 인간이다 보니까 다짐한 순간부터 몇 년간 준비를 했어요. 자금도 준비하고, 집도 알아보고 매매를 한 거죠.
처음부터 상담을 무아공간에만 갔어요. 상담을 받는데 오히려 상담 실장님이 저한테 다른 곳도 둘러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저는 제가 여태까지 다 조사했기 때문에 이 퀄리티를 따라가는 데가 없을 거라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다른 데 안 간다고 말씀 드렸죠. 제가 생각했던 무아공간은 아이폰, 애플 같은 개념이었어요. 한 번 써보면 다른 저가의 중국 핸드폰 못 사잖아요.
현관에서 시작되는 ‘호텔보다 더 좋은’ 경험
첫인상은 현관에서 시작됩니다. 이 집의 현관은 단순한 출입구를 넘어, ‘집의 품격’을 말해주는 공간입니다. 고객님께서 직접 그린 그림이 정면에 있고, 좌우로 시야가 확장되는 구조, 시팅 벤치와 큰 거울이 조화를 이루는 풍경은 마치 호텔 로비에 들어선 듯한 기분을 선사합니다.
Q. 무아공간 유튜브에 나온 현관 중 우리 집이 1등이라고 말씀해주셨더라고요.
A. 저희 집 영상이 제일 좋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던 거는 주관적일 수밖에 없잖아요. 그동안 무아공간 영상을 처음부터 끝까지 안 본게 없고 다섯 번씩 돌려보고 어디에 뭐가 있는지 제가 다 알거든요. 그랬을 때 우리 집 현관이 제일 좋다 이렇게 생각이 됐어요. 개방감이 있으니까 집 자체가 환하고 좀 시원한 느낌이 들고, 벤치 같은 경우도 키큰장과 시팅존을 같이하면 시팅존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데 여기는 신발장이 위에 떠 있어서 벤치가 길게 있으니까 너무 편해요. 나중에 우리 애들이 결혼했을 때 와서 앉을 수도 있고 그리고 저 같은 경우는 타이트한 부츠 신을 때 꼭 앉아야 되거든요.
무아가 풀어낸 거실, 깜짝 놀랐어요
거실에서 특히 시선을 사로잡는 것은 ‘쌍둥이 빌딩’처럼 배열된 서랍장과 입면의 구성입니다. 디자이너는 단순한 마감재 배치를 넘어, 양창형의 쑥 들어간 구조의 제약을 활용해 장식장을 만들었습니다. 툭 튀어나온 ㄴ자로 되어있는 코너에도 얕은 서랍을 제작해 쌍둥이 빌딩’처럼 대칭을 이루게끔 설계를 했죠.
Q. 레이아웃 미팅부터 최종 견적까지 한 달 동안의 설계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을 텐데요. 그 중에서도 이건 정말 잘 풀렸다 싶은 순간이 있으셨을까요?
이 집의 중요한 것은 양창형이라는 점이에요. 이런 양창형 집에는 이런 구조가 되게 많아요.(발코니부가 확장되어 코너에 ㄱ자 기둥이 있는 구조) 그런 것도 있고 제가 볼 때는 거실이 밋밋하다라는 생각이 좀 많이 들었어요. 그래서 디자인팀에게 거실에다가 힘을 주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니즈를 말씀드리니 이걸 이렇게 풀어내셨더라고요.
‘청량함’과 ‘싱그러움’이 살아있는 욕실
욕실은 기능성과 감성이 이상적으로 조화를 이룬 공간입니다. 고객이 직접 골라 담은 그림과, 십자가를 닮은 우연의 조형은 이 공간에 깊은 의미를 더합니다. “화장실에서 영화도 보고, 음악도 듣고, 사우나보다 좋아요.”
특히 조정욕조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설계된 대표적인 공간입니다. 짧은 시간에도 풍성한 휴식을 누릴 수 있도록 물 사용량을 줄이고, 좌식 구조로 안전성과 편안함을 동시에 구현했습니다. “아이들이 생기면 여기서 물놀이도 할 수 있겠다 생각했어요.” 고객님은 욕실을 단순한 기능공간이 아닌, 감성적 일상을 위한 쉼터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또한 세심하게 디자인된 조명과 환기, 조적 벽체의 비율까지 고려된 구조 덕분에 욕실은 언제나 청결하고 쾌적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유리 사용도 최소화하여 물때 관리의 번거로움을 줄였고, 마감과 수납의 디테일까지 고객 중심으로 완성되었습니다.
인테리어는, 내 삶을 다시 쓰는 일
고객님의 손길이 묻어있는 집
“강남 갈 때마다 소풍 가는 기분이었어요.” 고객님은 설계부터 소재, 시공까지 모든 과정에서 ‘행복한 예감’을 느꼈다고 말합니다. 특히 무아공간 디자이너와 기술팀의 섬세한 대응에 깊은 감동을 받았고, 신뢰는 날이 갈수록 깊어졌습니다. “밤 10시 반에도 와주시더라고요. 무조건 믿을 수 있는 팀이에요.”
하이엔드는, 결국 나를 위한 실용성과 감성
고객님이 정의하는 하이엔드는 단순히 ‘비싼 자재’가 아니라, ‘나에게 맞춘 실용성’과 ‘공간의 아름다움’입니다. “누군가에겐 그저 비싼 자재일 수도 있지만, 저에겐 지금 이 집이 진짜 하이엔드예요.” 그는 자신의 삶을 담은 이 공간이, ‘평생 가장 잘한 선택’이었다고 말합니다.
지금, 별내의 어느 아파트 한 켠에서 누군가는 음악을 틀고, 커피를 마시며, 자신의 인생과 가장 닮은 공간을 살아갑니다. 그리고 그 공간은, 무아공간과 함께 만든 '나다운' 집입니다.
무아공간 웹진은 가족과 일상의 이야기를 담아낼 더 많은 가능성을 열어두는 공간입니다. 앞으로 무아공간이 만들어갈 나다운 공간과 감각적인 디자인 스토리를 기대해 주세요. 😊